반응형 낮잠현상1 <채소원예> 채소원예의 이해 (4) 제7장 채소생육과 환경조절 1. 다량원소 : C H O P K N S Ca Mg 2. 미량원소 : Fe Mn Cu B Mo Zn Cl 3. 채소류의 무기양분은 수분흡수를 함과 동시에 확산, 침투하거나 세포벽의 양이온 흡작에 의하여 흡수된다. 4. 뿌리의 양이온 교환용량(CEC)은 세포벽의 펙틴함량에 따라 다른데 채소류는 벼, 보리 등에 비하여 CEC가 크며, 채소 중에서도 양파, 파, 등의 파속 채소는 비교적 적다. 5. N P K Mg S Cl등은 양분의 이동성이 크고, Fe Cu Zn Mo는 중간, Cu B는 이동성이 낮다. 6. 채소 이동흡수 특성 (1) 채소류는 뿌리의 염기치환용량이 높아 일반작물에 비하여 양분 흡수량이 많다. (2) 칼슘은 체내 재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생육기간을 통하여 계속 흡수.. 2023. 10.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