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파종2

(고추 2편) 고추 재배는 이렇게 하세요! [1] 육묘 가. 파종  1. 최아(싹 틔움) : 종자를 천에 싸 공기가 잘 통하고 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하여 28~30℃에 1~2일간 둔다  2. 파종상에 파종할 경우, 깨끗한 모래나 상토를 균일하게 깐 다음 6~8cm 간격으로 얕은 골을 만들어 줄뿌림 한다.  3. 포트에 파종할 경우, 포트 용량의 80~90% 정도의 상토를 채우고 파종한다. 나. 이식(옮겨심기)  1. 이식은 1회 정도가 적당한데, 적기는 본엽 1~2매 때이며 이식 직후에 활착을 돕기 위해 물을 주고 해가림으로 시들음을 막아준다.  2. 이식 후 3~4일 동안은 낮 온도를 27~28℃, 밤 온도 24~25℃로 관리하며, 특히 야간온도를 높게 관리한다.  다. 육묘중기 관리  1. 온도관리   (1) 꽃눈분화 및 발달이 이루어지는 .. 2024. 1. 17.
<채소원예> 채소원예의 이해 (4-1) 31. 내습성 - 약한 것 : 파, 양파, 당근, 감자, 멜론, 고추, 토마토 등 - 강한것 : 미나리, 고추냉이 같은 수생식물과 토란, 옥수수 등 32. 채소의 적정지온은 생리적으로 15℃이상이 요구되며 20 ℃부근이 양, 수분의 흡수에 가장 적절하다. 엽근채류는 저온성이 대부분이고, 과채류는 비교적 고온성이지만 토마토, 콩류, 딸기는 낮다. 33. 채소의 적정 토양 pH는 6.0 ~ 6.5의 범위에 있다. 34. 토양반응을 조절하는 수단으로는 석회 시용과 함께 유기물의 시용이 있다. 35. 염류집적의 원인 : 다비재배, 토양계량제 및 계분등의 연용, 터널, 멀칭, 시설재배로 인한 강우의 차단, 특히 시설재배에서는 인공관수에 의한 염류의 표층이동 및 작물의 흡수력 저하 등 36. 염류집적을 방지하기 위.. 2023. 10.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