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휴면3

<과수원예> 과수의 생장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하는 과수는 사과나무, 배나무, 감나무, 복숭아, 포도나무와 같이 겨울철에 잎을 떨어뜨리고 생장을 멈추는 낙엽과수이다. 이러한 식물들은 휴면이라는 특별한 생리현상을 보이는데 휴면이란 식물이 생장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식물의 생존과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여름에 눈이 생기면서 생육에 부적절한 시기인 가을부터 이듬해 이른 봄까지 휴면기에 들어가 생태적으로 겨울의 저온에 의해서 휴면이 타파되어야 이듬해 봄에 눈이 싹을 터서 생장을 시작한다. 1. 휴면이란 분열조직을 가진 식물체의 어느기관 또는 전부가 가시적인 생장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상태를 말하며, 생명활동을 최소한으로 유지함으로써 내, 외적인 불리한 조건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명유지 현.. 2023. 11. 5.
<채소원예> 채소원예의 이해 (3-2) (43) 직근류 비대양식의 3종류 - 목부비대형 : 무, 순무, 우엉 - 사부비대형 : 당근 - 환상비대형 : 비트 (44) 직근류의 비대에는 온도, 일장, 토양 환경이 큰 영향을 미친다. (45) 사질토양에서의 재배 : 겉모양은 좋아지지만 육질이 치밀하지 못하고, 쓴맛과 매운 정도가 커지며, 저장력이 크게 떨어진다.(왜무, 우엉, 장근종 당근) (46) 바람들이 원인 : 생육 중 근부 비대증상은 급격히 진행되고 그에 따라 잎으로부터 동화물질의 공급이 뒷받침되지 못하여 일어나는 경우와 저장 중 지나친 호흡으로 저장 양분의 소모가 일방적으로 일어나는 경우 발생하는 일종의 과숙현상(노화현상)이다. 즉, 당의 소모가 빠른 반면, 당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잃어 나는 현상 (47) 괴근 : 주피, 피층, 중심부.. 2023. 10. 17.
<채소원예> 채소원예의 이해 (3) 제4장 채소종자의 발아생리 1. 채소의 종자는 중복수정의 결과로 배주가 발달하여 형성된다. 즉, 난핵(n)과 정핵(n)이 수정 발달하여 배(2n)가 되고 극핵(2n)과 정핵(n)이 수정 발달하여 배유(3n)가 되며, 배주의 주피가 발달하여 종피가 된다. 2. 종자의 구성요소 : 종피, 배, 배유로 구성된다. (1) 종피 : 종자를 감싸는 보호기관으로 발아에 필요한 각종효소를 저장하고 생장 조절물질을 함유하는 기관 (2) 배유(씨젖) : 발아에 필요한 양분을 저장하며 내배유와 외배유로 구분된다. (3) 배 : 식물개체로 발전하는 기관으로 유아, 유근, 자엽 등으로 구성된다. (4) 수과 : 채소종자 가운데 식물학적으로 과실에 해당되며, 자방이 비대 발육하지 못하고 종자의 바깥에 말라 붙어 있는 상태로 '과.. 2023. 10.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