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농업

<채소원예> 채소원예의 이해 (4-1)

by muos 2023. 10. 19.

31. 내습성

   - 약한 것 : 파, 양파, 당근, 감자, 멜론, 고추, 토마토 등

   - 강한것 : 미나리, 고추냉이 같은 수생식물과 토란, 옥수수 등

32. 채소의 적정지온은 생리적으로 15℃이상이 요구되며 20 ℃부근이 양, 수분의 흡수에 가장 적절하다. 엽근채류는 저온성이 대부분이고, 과채류는 비교적 고온성이지만 토마토, 콩류, 딸기는 낮다.

33. 채소의 적정 토양 pH는 6.0 ~ 6.5의 범위에 있다.

34. 토양반응을 조절하는 수단으로는 석회 시용과 함께 유기물의 시용이 있다.

35. 염류집적의 원인 : 다비재배, 토양계량제 및 계분등의 연용, 터널, 멀칭, 시설재배로 인한 강우의 차단, 특히 시설재배에서는 인공관수에 의한 염류의 표층이동 및 작물의 흡수력 저하 등

36. 염류집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 비종의 선택, 시비량, 시비법의 합리화, 유기물의 시용 등

37. 집적된 염을 제거하는 제염으로는 객토가 가장 바람직하며, 그 이외 심경, 담수처리, 흡비작물 재배, 휴한기에 피복물 제거 등의 방법이 실용적으로 이용

38. 잡초는 작물과 양수분, 광선의 경합, 타감작용 등으로 생육에 장해를 초래한다.

39. 채소 종류별 배토의 목적

   - 아스파라거스, 파, 땅두릅 : 연백화

   - 토란 : 분구억제, 자구비대 촉진

   - 감자 : 괴경노출 방지, 배수

   - 당근 : 어깨착생 방지

   - 무 : 도복방지, 제조

40. 멀칭의 일반적인 효과 : 지온의 조절, 토양수분의 조절, 토양 및 비료유실방지, 잡초방지, 병원균과 해충의 회피, 토양으로부터의 오염방지, 시설 내의 공중습도 조절 등

41. 투명 플라스틱 필름 멀칭의 효과 : 지온상승조절, 토양수분유지, 비료유실방지

42. 제염 : 집적된 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객토가 가장 바람직하며, 심경, 담수처리 등

43. 짚이나 풀 멀칭의 효과 : 건조방지, 잡초방지, 과도한 지온상승 방지, 발병억제

44. 관비(Fertigation) : 관수를 겸한 시비로, 자동화 관수정체에 액비를 혼합하여 작물의 근역에 공급

45. 무기양분 중 채소는 칼슘의 요구도가 특히 다른 작물에 비하여 높다.

46. 엽면시비 : 식물의 잎에 있는 기공과 세포막을 통하여 무기영양을 공급하는 것

47. 연작에 의해 피해가 크게 발생하는 병 : 가지과 채소의 청고병, 박과 채소의 만할병, 딸기의 위황병, 고추의 역병 등

48. 배추과 채소들은 연작하면 붕소결핍증이 많이 나타난다.

49. 연작장해의 원인 : 토양 중 병원균과 해충이 집적되고, 토양의 물리, 화학적 성질이 나빠지며, 작물의 뿌리로부터 독소물질 등이 분해

50. 연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토양병충해의 방제방법 : 토양소독과 저항성 품종의 이용, 접목재배등

51. 토양 소독방법

   - 약제소독 : 클로로 피크린과 취화메틸 같은 토양 훈증제를 이용한 소독

   - 시설토양이나 육묘용토 등은 가열소독을 많이 한다.

 

제8장 : 채소재배와 작물 관리

1. 노지재배에서는 기상조건(기온과 지온)이 파종기를 제한하는데 김장용 결구배추나 양파와 같은 것은 여름에 파종해야 결구가 잘 되고 인경이 정상적으로 비대한다.

2. 채소종자의 파종방법

(1) 산파 : 열무, 얼갈이 배추, 쑥갓 등의 재배등 단기간에 수확하는 경우에 이용, 파종 후 관리 불편

(2) 조파(관리편리) : 무, 우엉, 상추 등의 직파와 파종상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많이 이용

(3) 점파 : 일정간격마다 한곳에 1~3개의 종자를 파종, 콩과채소, 단옥수수, 배추, 그리고 파종기나 종자테이프(Seed tape)를 파종 시에 많이 이용

3. 솎음 : 생육이 부진하고 병에 걸린 개체나 이형주 등을 뽑아내는 작업

4. 대형봄무의 시설재배에서 육묘이식재배를 하는 직접적인 이유는 저온적응에 대한 추대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5. 육묘의 목적

(1) 조기수확이 가능하고, 수확기간을 연장하여 수량을 높일 수 있다.

(2) 봄배추와 봄무 등의 경우 집중적인 보온으로 추대를 방지할 수 있다.

(3) 묘상의 집약관리로 어릴때의 환경관리, 병충해 방지가 쉽고, 관리비용이 절감된다.

(4) 본 밭의 토지이용률을 높여 단위면적당 수량 및 수익을 증가시킨다.

(5) 직파에 비하여 발아율을 향상시켜 종자를 크게 절약할 수 있다.

(6) 묘의 생식생장 유도, 접목 등으로 본포적응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6. 온상육묘의 양열재료로는 볏짚, 낙엽 등과 같은 탄소원(C)인 주재료와 깻묵, 계분, 요소와 같은 질소원(N)인 부재료를 섞어 이용한다.

7. 노지육묘 : 고온기 노지에 간단하게 묘판을 만든 다음 비가림, 차광, 또는 방추등의 간단한 시설을 하여 육묘하는 것

   ex)  가을배추, 딸기, 양파, 파

8. 삽목육묘(단근육묘) : 어린묘의 배축을 절단하여 삽목 한 다음 발근시켜 묘를 생산하는 것

   - 박과채소와 가지과 채소의 경우는 만할병, 위조병 등 토양전염병에 대한 내성을 높이고, 저온이나 고온 등 불량환경에 견디는 힘을 높이며, 흡비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접목을 많이 한다.

9. 토양상토의 소독법

   - 가열소독 : 소토법, 증기소독법

   - 약제소독 : 클로로피크린, 메틸브로마이드, 포르말린 등

10. 토양상토는 무병토, 유기물, 화학비료를 섞어 만든다.

11. 경량혼합상토는 3~4종의 유기물(피트모스, 코코넛, 더스트)과 무기물(펄라이트, 버미클라이트, 지오라이트 등)을 혼합하여 만든다.

12. 파종 후 관리 : 발아적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청명한 날 낮에도 환기시키지 않고, 거적 등으로 차광하여 지나친 기온의 상승을 막아 주면서 상토의 수분을 유지해 준다.

13. 야냉육묘 : 묘상의 온도를 주간에는 높게 하고 야간에는 낮게 관리하여 모종을 가꾸는 것

14. 야냉육묘의 이유 : 낮에는 적온의 범위 내에서 상온을 높여 광합성을 촉진시키고, 밤에는 가능한 한 온도를 낮추어 호흡작용에 의한 탄수화물의 소모를 줄여 웃자람을 방지하면서 화아분화 등의 발육을 순조롭게 유도한다.

15. 모종을 순화하는 방법 ; 관수량을 줄이고, 상온을 낮추며, 서서히 직사광선을 줄임으로써 이루어짐

16. 모종을 순화시켰을 때 나타나는 현상 : 건물량이 증가하고, 엽육은 두꺼워지며, 조직도 단단해지고, 큐티클이 잘 발달

17. 조숙재배에서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멀칭을 하여 지온을 확보한 다음에 정식을 한다.

18. 적심( topping) 줄기의 끝을 잘라 불필요한 착과 방지, 남은 잎의 기능을 강화하여 착과 된 과실의 발육 촉진

19. 적아(disbudding) 측지제거 또는 곁순따주기라고도 하는데, 곁순(측아)을 따서 영양의 불필요한 소모를 막고 잎의 수광량을 늘려 주면서 공기의 유통을 향상시켜 병충해를 방지해 주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