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농업

(토마토 2편) 토마토 재배는 이렇게 하세요!

by muos 2024. 5. 10.

토마토는 AD 700년경 잉카 및 아즈텍 인디언들이 매우 작은 방울토마토를 처음 재배하였고 우리나라에는 1614년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습니다. 원산지인 남미 안데스 산맥 고산지대의 특성상 햇살이 강하고 배수가 잘 되며, 서늘한 기후에 잘 자라는 토마토 재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토마토의 그룹과 특징

 (1) 분홍색계 토마토

  • 과실을 직접 따서 바로 먹는 생식용으로 당도가 높은 편으로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한 계열입니다.
  • 주로 일본에서 육성된 품종으로 빨간색계 토마토보다 재배기술이 어렵고 재배기술에 따라 상품과 생산율에 큰 차이가 있으며 단기재배에 적합합니다.

 (2) 빨간색계 토마토

  • 슬라이스, 샐러드 등 주로 요리용으로 재배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약 20%정도 재배되고 있습니다.
  • 유럽에서 육성되었으며 분홍색계 토마토보다 당도는 낮지만 육질이 단단해서 요리에 적합합니다.
  • 내병성 및 착과비대가 우수하고 장기간 초세관리가 용이해서 장기재배에 적합합니다.

 (3) 방울토마토

  • 방울토마토는 모양에 따라 둥근형과 대추형으로 구분됩니다.
  • 국내에서 둥근형과 대추형의 재배되는 비율은 거의 비슷하며, 수량은 수확 화방수, 착과수, 과중에 의해 결정됩니다.
  • 파종 후 본잎 3~4매까지는 생육속도가 느리지만, 그 후의 생육속도는 일반 토마토보다 빠르고 개화 일수도 짧으며 성숙기간도 4~10일 정도 짧습니다.
  • 방울토마토는 재배기술의 수준 차이가 크지 않아 도시농업인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작물입니다.

2. 재배적 특성

 (1) 토마토 온도적 특성

  토마토 씨앗을 이용하여 싹을 틔우고자 할때 필요한 온도는 25~30℃는 되어야 발아하기에 적합하죠. 모종을 키우는 동안에도 20~25℃를 유지시켜 주어야 건강한 모종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직접 키우기보다는 모종을 구입하기를 권장합니다. 그리고 정식 후 생육에 필요한 온도는 17~27℃에서 잘 자라지만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20~25℃의 온도가 필요하고 토마토 열매를 크게하기 위해서는 25~30℃에서 수확 후 장기간 저장해서 먹기 위해서는 4℃에 보관하면 좋습니다.

 (2) 생리적 특성

  토마토의 재배에 적합한 토양산도 pH 6.5~7.0 범위에서 생육양호 하며 호온성 채소이나 고온다습하면 착과가 불량하고, 열매 비대가 불량하며, 열매가 깨지는 등 품질이 떨어지고, 병해발생이 증가합니다. 육묘기의 야간온도가 12℃ 이하의 저온에 처하면 기형과 발생증가 하고 중일성 작물이나 꽃눈분화는 16시간 정도의 장일에서 빨라지고, 제 1화방의 착과 절위는8시간 정도의 단일하에서 낮아짐니다.

 

3. 재배일정

4. 모종 기르기

 (1) 주요 품종

  • 주요 품종 : 일반완숙 토마토의 경우 분홍색계 토마토인 도태랑계통 품종을 재배하면 맛있는 토마토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기형과 비율이 높고 저장성이 조금 떨어집니다. 방울토마토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은 꼬꼬, 요요 등이 있습니다.
  • 파종시기는 2월 중순~2월 하순 경 육묘전용 트레이를 이용(단기육묘 시 50공, 장기육묘 시 128공)하여 파종하고 건조예방을 위해 신문지 등으로 덮어 두고 25~30℃로 관리하며 발아 후에 신문지를 제거하여 줍니다.
  • 토마토는 육묘기간이 3달 정도로 길기 때문에 중간에 조금 더 큰 화분으로 가식하여 주는데  본엽이 2∼3매 정도 나오면 뿌리가 절단되지 않게 유의하여 옮겨주고 본엽이 4∼5매까지 자랄 수 있도록 충분히 관수하고 강한 햇빛은 차광하는 것이 좋습니다.
※ 좋은묘종이란?
- 키가 너무 크지않아 전체모습이 장방형인 것
- 병해충 피해가 없는 것
- 손바닥에 놓아도 흔들거리지 않는 것
- 잎은 진한 녹색으로 보랏빛이 없으면서 두꺼울 것


5. 밭 준비

  • 정식하기 15~20일 전에 퇴비와 석회를 골고루 뿌리고 경운작업을 합니다.
  • 정식하기 7일 전에 복합 비료를 살포하고 로터리 및 두둑작업을 합니다.
  • 이랑은 두둑간격 100cm, 고랑너비 30∼40cm, 두둑높이 20cm 이상으로 만들어 줍니다.
  • 정식 5일 전에는 전용비닐을 이용하여 멀칭 하여 줍니다.

6. 정식하기

  • 정식시기는 늦서리가 없는 5월 상순경에 정식합니다. 고온다습한 한여름에 심으면 웃자라고 꽃 또는 열매가 떨어지거나 배꼽썩음과 등이 많이 나타납니다.
  • 정식에 적합한 모종은 크기가 25~28㎝, 줄기 굵기는 0.5∼0.6㎝정도 되며 본엽이 7∼9매 정도 나오고 1화방 꽃이 약 10% 정도 개화된 모종이 좋으며 잎 색은 너무 진하지도 연하지도 않은 녹색을 띠고 있는 것을 선택합니다.
  • 심는 거리(재식거리)는 2줄 재배 시 줄간격 70cm × 포기사이 35cm로 심어 줍니다.
  • 정식할 때 모종은 육묘 시 심겨진 깊이대로 정식하여 주고 물은 충분하게 주도록 합니다. 
재배 관리하기
- 겨드랑이마다 나오는 곁가지는 되도록 일찍 제거하고 원줄기만 주지로 키웁니다.
- 정식당일 또는 1~2일 후에 지줏대를 토마토 옆에 세우고 끈을 이용하여 8자 모양으로 여유있게 줄기에 묶어줍니다.
- 열매가 자라는 토마토는 한 그루에 하루 1~2리터 정도의 물을 흡수 할수 있도록 물을 주어야 합니다.
맛있는 과일 만들기
- 한 송이에 꽃이 3~7개 정도 달리는데 너무 많이 달리면 과실이 작고 맛이 없어지기 때문에 4개정도 남기고 나머지는 따 버립니다.
- 포기의 맨 위를 잘라주면 과일이 빨리 익습니다.
- 보통 4화방 정도에 꽃이 피면 그 위를 잘라주는데, 식물체가 건강하면 6~7화방 위에서 잘라줄 수도 있습니다. 자를 때에는 꽃 위에 잎을 2개정도 남기도록 합니다.
- 물기가 너무 많기 밭을 관리하면 과실의 맛이 떨어지고, 상처를 받으면 갈색을 변해 흉하게 됩니다.

 

7. 정식 후 관리요령

  • 유인하기 : 정식 후에는 I자형 또는 X자형 지주대 설치 하고 생육에 따라 유인합니다.
  • 곁가지는 전부 제거 : 겨드랑이마다 나오는 곁가지는 모두 제거하여 원줄기만 주지로 키우고 초세가 약할 때는 제거시기를 다소 늦추고 초세가 강할 때는 빨리 제거하도록 합니다. (영양생장 촉진 호르몬 공급억제)
  • 웃거름(추비) 주기 : 정식 후 20~25일경 10㎡(3평)당 요소 60g, 가리 60g를 포기와 포기사이에 구멍을 뚫고 4~
    5cm 내외 깊이에 나눠 시비합니다.
  • 관수(물주기) : 정식 후 초기(3화방이전)에는 토양이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되 그 이후에는 충분히 관수합니다.
  • 병해충방제 : 생육상황에 따라 예방위주의 방제와 농약안전사용기준 준수
    - 주요 병해충 :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 청고병, 잿빛곰팡이병, 흰가루병, 차먼지응애, 총채벌레, 파밤나방 등
    - 생리장해 : 칼슘·철·마그네슘 결핍, 배꼽썩음과 등

※ 시비량 (kg/100㎡)

비료명 총량 밑거름 웃거름
1회 2회 3회
퇴비 100 100 - - -
요소 6.0 4.2 0.6 0.6 0.6
용성인비 4.0 4.0 - - -
염화가리 5.0 3.2 0.6 0.6 0.6
석회 15.0 15.0      

 

8. 수확하기

  • 착과 : 화방별로 약 4~5개만 남기고 모두 제거하기
  • 착과제처리 : 벌이나 사람이 수정하지 못할 경우에는 토마토톤(착과제) 액제를 꽃에 분무(20℃ 이하 80~100배액, 20℃ 이상 100~120배액)하여 착과 시킬 수 있습니다.
  • 수확 : 수정 후 30~40일경 비대완료, 45~60일경 수확합니다.
  • 순지르기 : 8월 말까지 수확하고자 한다면 6월 말에 마지막 화방의 위에 잎을 2장 정도 남기고 잘라주면 과실의 익는 속도를 빨리 할 수 있습니다.